1999년에 문을 연 하자센터 (공식명: 서울시립 청소년 직업체험센터)는 초기부터 청소년들의 자기주도성과 창의성을 강조한 ‘창의적 공공지대 (creative commons)’ 로 출발했습니다. 대량생산 패러다임의 입시 위주 교육에 반발하면서 제도권 학교를 탈출하는 청소년들이 늘어나는 현실에서 그들이 마음 놓고 창의적인 활동에 몰두할 수 있는 문화작업장을 열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2000년대 후반부터 사회 전반에 걸쳐 자기주도성과 창의성을 강조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었고, 마치 창의성이 입시교육에서처럼 주입하면 되는 것, 또는 훈련을 시키면 되는 어떤 능력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생겨났습니다. 학원가에서는 학생들을 ‘자기주도학습’을 하는 ‘창의적 인재’로 키워준다며 대대적 홍보를 하는 한편, 정부에서는 창의적 인재를 키워낼 거대 기구를 만들기도 하였습니다. 창의성이란 것이 인위적으로 통제된 공간에서 키워지기는 힘든 것일 텐데 이런 문제적 접근을 하는 상황을 보면서 하자센터에서는 창의서밋을 열기로 했습니다. 2008년 예비 서밋의 주제를 “창의성 뭥미?, 창의성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 잡은 것은 바로 그 이유였습니다.
“창의성은 꿈이고 이야기이다, 창의성은 문제발견과 해결의 능력이다, 창의성이란 만남이고 헌신이다, 창의성이란 신뢰의 관계이며 헌신이다”라는 네 개의 세션으로 진행된 심포지엄을 비롯해, 홍콩 현대문화원 대표 대니 융(Danny Yung)과 홍콩 창의성학교 설립자 애다 웡(Ada Wong), 모스크바 국제영화학교 설립자 알라 스테파노바 (Stepanova Alla)를 비롯 홍콩, 러시아, 한국의 학생들이 대거 참여한 다양한 워크숍과 프로그램을 통해, 삶에서 키워진 각자의 창의력을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습니다.
2009년 첫 번째 서밋은 대대적인 초대 행사였습니다. 우리는 “창의성, 위기의 삶과 만나다”라는 화두로 창의성은 학교나 학원에서 가르친다고 배워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에서 크고 작은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을 통해 키워진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오늘날 세계 각국의 근대적 학교들은 창의성에 적대적”이라는 주제의 연설로 큰 공감을 불러일으킨 OECD CERI(Center for Educational Research & Innovation)의 책임연구원 데이비드 이스탄스(David Istance), 홍콩대학 문화정책연구소 소장 데스몬드 호이(Desmond Hui), 홍콩창의성학교의 디렉터 메이 펑(May Fung), 미국 일리노이대학의 낸시 에이벌만(Nancy Abelmann), 모스크바 국제영화학교의 교사 올가 페그라다이안(Olga Fagradian), 핀란드 옴니아직업학교의 교장 유하-페카 사리넨(Juha-Pekka Saarinen), 네팔의 사회적기업 3Sisters Adventure Trekking의 비자야 체트리(Bijaya Chhetri)와 러키 체트리(Lucky Chhetri), 일본의 사회적기업 Center for Active Community의 대표 아쓰코 핫토리(Atsuko Hattori), 교토 랩의 대표 오카베 도모히코(Okabe Tomohiko), 소다테아게넷의 쿠도 케이(Kudo Kei), 아소봇의 이토 다케시(Ito Takeshi), ISL의 디렉터 이토 켄(Ito Ken) 등 국내외에서 창의적인 배움터와 일터를 만들어내고 마을을 풍요롭게 해내는 교사와 사회적기업가와 연구자들이 대거 모여 뜻깊은 자리를 만들어갔습니다.
2010년 두 번째 서밋에서는 협력과 호혜의 관계를 만들어가는 나흘간의 축제의 장을 펼쳤습니다. 덴마크 카오스필로츠 설립자 우페 엘벡(Uffe Flbaek), 네덜란드 노매즈 교장 피터 스핀더(Pieter Spinder), 캐나다의 대안학교 ‘경계없는 학교’를 설립한 크리스 강(Chris Kang), 일본의 생태평화 운동가 마사키 다카시(Takashi Masaki), 일본의 카페슬로 설립자 요시오카 아츠시(Atsushi Yoshioka) 등, 문명의 전환기에 청소년과 청년을 위한 새로운 삶터와 일터를 고민하는 분들을 초대하여, 지속가능한 미래 기획과 풍요로운 삶에 대한 다채로운 이야기들을 나누었습니다.
사실상 시장에서 말하는 창의성은 지속가능하게 재생산될 성격의 것이 아니지요. 구체적으로 한국의 사례를 보아도 이 점은 분명해집니다. 1990년대 이후 청년 인터넷 벤처붐이 일면서 ‘창의적인 인재’들이 큰 포부를 가지고 대거 활약을 해왔지만, 그 성과는 미비합니다. 이어서 디자인 붐이 일어서 또 한차례 ‘창의’라는 단어가 ‘디자인’이라는 단어와 함께 가는 주술적(magic) 단어로 떠올랐지만 지금 희망에 부풀었던 많은 디자이너들은 직장을 잃고 자기 골방으로 들어가 의기소침해 있습니다. 창의적 인재라는 자아 이미지를 가진 이들은 점점 외톨이 돈키호테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반면에 가장 발랄하게 창의적인 활동을 할 나이인 십대 청소년들은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점점 더 심하게 입시경쟁에 묶여서 창의성과는 거리가 먼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무슨 일이 그간 일어난 것일까요? 왜 창의적 인재들이 ‘찌질’해지고 있는 것일까요? 이런 질문을 던지면 2011년 3차 서밋에서는 다시 홍콩 창의성 학교와 접속했습니다. 홍콩당대문화원 대표 에다 왕(Ada Wong)을 키노트 스피커로 모셨습니다. 우리는 이 자리를 말보다는 보여주기에 집중하는 자리로 마련하고자 했고 그런 의미에서 주제를 ‘상상, 행동, 전환’으로 잡았습니다. 한국에서 싹트는 다양한 창의적 움직임을 홍콩, 유럽, 미국 등지에서 온 예술가들과도 만나는 축제의 장으로 벌여갔던 것입니다.
2012년 “자활의 환경, 자립의 기술”이라는 주제의 네 번째 서밋에서 우리는 창의성은 누군가를 돕고자 할 때,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는 사회적 존재일 때 가능하다는 인식을 하게 되면서 생태주의로의 전환을 시도 했습니다. 창의력이라는 것이 시대적 맥락에서 나오는 것이며 개인적 문제이자 곧 사회구조의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에서 나오는 것이라면 그 사회는 어떤 사회인지를 물으면서 근대 문명의 생태주의적 전환이 필요함을 선언한 것입니다. 발명가이자 비전력 공방 공장장인 후지무라 야스유끼(Fujimura Yasuyuki) 선생을 초대한 것은 그 분이 바로 생태적 전망에서 다양한 유형 무형의 발명을 해오신 분이기 때문이었습니다.
----------------------------------------------
올해 서밋의 주제와 방향:
올해로 5회를 맞는 이번 2013 서울청소년창의서밋의 주제는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전환과 연대>로 정했습니다. 해를 거듭하면서 서밋의 단골 분들이 늘어났고 이제 생태주의로 전환을 한 창의적 분들이 연대를 할 때가 되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창의성을 강조하면 할수록 창의성이 줄어드는 고도관리 사회이지만 제대로 숨을 고르면서 지속가능한 삶의 공간을 만들어가는 분들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번 서밋을 통해 지속가능한 삶의 현장을 만들어가는 주체들이 서로 엮이고 새로운 행동을 구체화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그래서 키노트 스피커로 1990년대부터 ‘큰 구상, 작은 학교 Big Picture, Small School 운동’을 벌여온 교육 운동가이자 주 3일을 지역사회에서 자기 길찾기 공부를 하게 했던 메트스쿨 설립자 데니스 릿키(Dennis Littky)씨를 초대했습니다. 그는 최근 자신이 가진 ‘진로’ 개념을 바탕으로 나이 상관없이 한데 모여서 창의적인 삶을 살고 배우는 college unbound라는 새로운 학교를 만들었습니다. 또한 ‘학교 안팎의 학습’에 대해 꾸준히 작업을 해온 문화인류학자 수잔 블룸(Susan Blum) 교수를 초빙했는데 이 분은 최근 왜 학생들이 남의 보고서를 베끼고 표절을 하는 등 비윤리적 행동을 불사하는지를 연구하면서 대학교육이 근원적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해왔습니다. 자기 계발과 자기 관리를 주창하는 신자유주의적 동기화가 아닌 삶의 동기를 찾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시대에 대학은 무엇이며 학교라는 것 자체는 어떻게 변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대 중국연구자로서, 그리고 대학에서 가르치는 현장의 교사로서 그의 통찰력을 나누어줄 것으로 기대합니다.
창의서밋은 그러나 해외에서 초대된 탁월한 분들의 강의를 듣는 자리는 아닙니다. 그 분들을 우리의 축제해 초대하는 것이지 그분 때문에 우리가 모이는 것은 아닙니다. 이번 서밋은 특히 그간 우리와 함께 해온 단골들과 함께 판을 벌이려고 합니다 고용없는 성장의 시대에 ‘청소년 진로’로 고심하면서 뭔가 돌파구를 보게 된 교수, 학교와 마을을 연계해온 교육자, 문화와 예술 영역에서 새로운 삶의 장을 열어가는 청년들, 스스로의 문제를 또래들과 협력하면서 풀어가고 있는 청소년과 청년들, 생태적 사업을 시작한 사업가와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포함한 다양한 사회 경제적 실천의 장을 열어가고 있는 분들이 모두 모여 축제를 벌이는 자리이고자 합니다.
창의서밋은 늘 그러하듯 키노트 강연을 통해 문제의식과 언어를 공유하는 자리와 함께 비슷한 과제를 가진 이들이 모여 함께 문제를 공유하고 풀어가는 워크숍이 있습니다. 물론 그 핵심에 다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축제와 장터가 있습니다. 10월의 사흘, 하자센터가 어김없이 마련하는 축제에 고른 숨을 쉬는 여러분들, 전환과 연대의 의미를 아시는 모든 분들을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