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ja Logo
Haja Logo
MENU
  • 하자소개 하자소개
    • 하자이야기
    • 비전과 원리
    • 아이덴티티 소개
    • 발자취
    • 약도와 연락처
    • 하자마을의례
    • 패밀리 사이트
    • 채용안내
  • 프로젝트 프로젝트
    • 대안교육
    • 창의진로교육
    • 커뮤니티
    • 청소년 주도
    • 서울청소년창의서밋
  • 공간 공간
    • 하자공방
    • 청소년카페
    • 공유카페
    • 모아모아랩
    • 허브갤러리
    • 마을책방
  • 소식과 자료 소식과 자료
    • 공지사항
    • 프로그램 신청
    • 요즘 하자
    • 이달의 하자
    • 뉴스레터
    • 언론보도
    • 자료실
  • 투어 및 대관 투어 및 대관
    • 하자 투어 안내
    • 공간 대관 안내
  • 문의
  • Newsletter
    하자센터의 소식을 정기적으로 받아보세요.
  • Search
  • Sitemap
  • 프로그램 신청
  • 하자투어 신청
  • 공간대관 신청
  • 하자 ON
  • 서울청소년창의서밋
  • 약도와 연락처
요즘 하자
  • 전체보기
  • 오디세이학교
  • 하자작업장학교
  • 주말로드스꼴라
  • 음악작업장
  • 창의진로교육
  • 유스&미디어랩
  • 열린작업장
  • 청소년자치
  • 커뮤니티
  • 서울청소년창의서밋
  • 영등포 미래학교 네트워크
  • 기획연재
  • HAJA
  • 열린작업장
    디자인이 놀이가 될 때 - 젊고 용감한 워크숍 - 열린작업장
  • 열린작업장
    엄마들의 생활자전거 엘로 Interview #5. 지역연구 - 열린작업장
  • 열린작업장
    조금은 특별한 자전거 교육, 두 바퀴로 보는 세상 - 열린작업장
  • 열린작업장
    엄마들의 생활자전거 엘로 Interview #4. 서비스디자인 - 열린작업장
  • 열린작업장
    엄마들의 생활자전거 엘로 Interview #3. 사용자리서치 - 열린작업장
  • 열린작업장
    엄마들의 생활자전거 엘로 Interview #2. 카드뉴스 - 열린작업장
  • 열린작업장
    엄마들의 생활자전거 엘로 Interview #1. 기획 - 열린작업장
  • 열린작업장
    우연히 시작한 목공으로 ‘이행기’를 만난 위디의 이야기 - 열린작업장
  • 열린작업장
    열린작업장(Open-Workroom) 작업일지 #3 - 열린작업장
  • 열린작업장
    하자센터의 재발견 자전거공방 - 리사이클링 - HAJA
  • 열린작업장
    열린작업장(Open-Workroom) 작업일지 #2 - 열린작업장
  • 열린작업장
    열린작업장(Open-Workroom) 작업일지 #1 - 열린작업장
1
2
열린작업장(Open-Workroom) 작업일지 #3 by 열린작업장

열린작업장(Open-Workroom) 작업일지 #3
 

 


1. 실험과 실패를 쌓이는 공간

이미지_열작.jpg


열린작업장에 해체워크숍이 열였다. 아이들은 해체된 거북이에 경악하면서도 자리를 뜨지않고 구경한다. 만들기는 해체에서부터 시작된다. 조립하고 해체하고 다시짓기를 반복하며 새로운 것을 만든다. 놀이에서의 새로움은 지겨움 대한 저항이다. 노는 아이들은 쉼없이 놀며 자신의 즐거움을 찾고 익혀간다. 어린시절 의자와 이불로 아지트를 만들고 전자기기로 로봇을 흉내내며 놀던 기억이 있다. 애먼 시계 속 뻐꾸기를 꺼내고 카세트 테잎을 늘어뜨려 놀던 때, 눈에 보이는 것이 모두 놀이고 장난감이었다. 세상이 스마트해지며 버튼과 나사가 사라져간다. 아이들의 놀이도 디스플레이 안으로 사라져가는 것은 아닐까. 해체하며 놀자. 용기있는 호기심을 불러있으키자. 오늘날의 지겨움을 이겨낼 새로움을 상상해본다.

2. 협업하는 공간

꿈북.jpg


청소년 자원봉사자들이 하자에 모였다. 버려진 폐목재를 자르고 다듬어 메달을 만든다. 지적, 자폐성 장애 청소년, 청년을 지원하는 꿈꾸는거북이는 여름날의 한강레이스를 준비중이다. 자원봉사자들이 손수 만든 메달은 한강레이스 완주자에게 수여될 예정이다. 조금 느리지만 함께 강산을 달리며 자연을 만끽하는 시간. 건강하고 안전한 꿈꾸는 거북이의 완주를 바래본다.


3. 생각을 공유하고 실행하는 공간

 

청운위.png


하자 청소년운영위원회 시유공이 한해살이를 시작했다. 스물한명의 별명이 익숙해지니 쭈뼛거림도 잦아든다.
 하자마을 입촌잔치를 찾아 인사도 나누고, 함께 놀고 먹으며 생각의 틈을 만들어 간다. 청소년 ‘놀토엑스포’를 준비할 때에는 머리와 마음, 힘을 합쳐 준비했다. 가면수다방을 열어 친구들과 속 이야기를 나누고, 손등 위에 귀여운 작은 그림을 그려 선물한다. 스물한색 시유공은 앞으로 어떤 시간과 공간들을 만들어갈까.
 
4. 기술을 철학하는 공간


스툴.jpg


서울의 한 청년들은 ‘지구에서 가장 쓸모없는 물건 만들기’를 시작했다고 한다. 쓸모도 가르침도 없는 그 헐렁한 모임이 잘 이해되진 않지만 마음은 동한다. 열린작업장에서는 얼마전부터 등받이 없는 의자, 스툴을 만들기 시작했다. 쓸모는 있지만 마음만은 같다. 합리성이 갖는 무게와 답답함을 잠시 벗어나고 싶은 마음 말이다. 그림을 그릴때면 무엇을 그리냐는 질문을 종종 받는다. 그런데 대개는 순간 생각나는 것을 그린다. 나의 생각이 무엇인지 자신도 모르지만 작업이 즐겁기에 그냥 하는 것이다. 쓸모없는 것들에 관대하지 못해서 일까, 의미를 찾는 강박에 갇혀서일까. 즐겁지 않은 만들기를 계속한다. 만들어지는 것이 무엇이라도 만드는 이는 손의 즐거움을 안다. 그래서 서투른 손은 부끄럽지 않다.

 


 

글 | 네모(진성욱, 열린작업장 판돌 nemo@haja.or.kr)
*열린작업장(Open-Workroom) 작업일지 #2

열린작업장 홈페이지 바로가기

 

공유하기
Tweet
수정 삭제
이전글
목록으로
다음글
운영시간: 10:00~22:00(월~토), 10:00~19:00(일)
휴관안내 : 1월 1일, 설날, 추석, 노동절, 임시공휴일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신로 200
전화: 02-2677-9200 | 팩스: 02-2679-9300
고유번호: 107-82-06446 | 대표: 황윤옥
Facebook
Youtube
Instagram